* 난이도 등급 A : 정답률 80% 이상, B : 60~79%, C : 40~59%, D : 20~39, E : 20% 미만
수학 영역
출제 경향 분석
문항 분석표
* 난이도 등급 A : 정답률 80% 이상, B : 60~79%, C : 40~59%, D : 20~39, E : 20% 미만
영어 영역
출제 경향 분석
문항 분석표
* 난이도 등급 A : 정답률 80% 이상, B : 60~79%, C : 40~59%, D : 20~39, E : 20% 미만
탐구영역
출제 경향 분석
구분
출제 경향 분석
도덕
전반적으로 평이하게 출제되었다. 인간의 특성을 이해하는 1번, 비판적 사고와 배려적 사고를 비교하는 5번, 민족 구성의 요소를 이해하는 18번은 기본 개념을 묻는 문제이고, 소극적 자유를 이해하는 10번, 실질적 정의를 이해하는 13번, 시민 참여의 의의를 이해하는 15번은 자료를 분석하는 문제이다.
한국사
한국사의 기본 지식을 묻는 문제가 다수 출제되었다. 출제 형식면에서는 최근 수능 경향에 맞춰 삽화, 사진 자료, 도표 등이 제시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출제되는 수능 문제에 학생들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리
국토와 지리 정보, 자연환경과 인간 생활, 문화 경관의 다양성, 장소 인식과 공간 행동 등의 단원에서 고루 출제되었다. 11번은 도시화와 도시 내부 지역 분화, 도시 체계 등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 있어야 풀 수 있는 문제이다. 기후 및 지형 관련 문항들은 제시된 용어가 어렵고, 주민 생활에 끼친 영향 등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어야 풀 수 있다. 특히 18번은 골짜기의 형성과 분수계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고, 그 내용을 지형도 상에서 파악해야 하므로 다소 어렵다.
일반사회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준에 맞추어 전체적으로 평이하게 출제하였다. 기본적인 개념을 묻는 문제와, 시사적 사례를 분석하여 기본 개념에 적용하는 유형의 문제를 다수 출제하였다.
물리
중학교 전체 과정의 기본적인 개념 정리와 고등학교 1학년 과정의 내용들을 자료와 실험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들을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출제하였다.
화학
전반적으로 평이하게 출제하였으며, 중학교 과정에서는 자료를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를, 융합 과학은 중요한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문제들로 구성하였다. 수소 원자 모형에서 전자 전이를 선 스펙트럼과 연관 지어 푸는 문제를 출제하여 변별력을 높였다.
생명과학
중학교 과정에서 각 단원별 중요한 기본 개념을 이용한 문제 10문항, 융합 과학에서 10문항을 출제하였다. 중학교 과정의 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더불어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중심으로 비교적 평이하게 출제하였다. 기본 개념에 대한 충분한 숙지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지구과학
중학교 과정에서 10항, 융합 과학 과정에서 10항을 출제하였다. 5월에 관측된 부분 일식의 진행 과정을 보고 일식이 일어나는 원리와 달의 운동을 해석하는 문항과 교과서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이해를 토대로 주어진 자료를 해석하는 문제들로 구성되었다.